본문 바로가기
클라우드

리전(Region),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 AZ),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by asd135 2024. 9. 30.
728x90

리전(Region)

AWS 데이터 센터의 물리적인 위치, 세계 여러 지역에 AWS 리전이 있으며 각 나라의 데이터 보호 법규에 따라 AWS 리전의 구성 요소와 데이터 치리 방식이 다를 수 있음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 AZ)

 

리전 내 데이터 센터 그룹

  1. 각 가용 영역은 전원, 네트워크, 냉각 등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어느 가용 영역에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가용 영역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2. 같은 리전 내에서도 가용 영역을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자연 재해 등 문제로 부터 안정성을 높임

 

고가용성: 시스템이 항상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

예시: 한 가용 영역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가용 영역에서 서비스를 계속 운영

 

내결함성: 시스템이 문제가 생겼을 때 감지하고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는 능력

예시: 한 가용 영역에서 서버가 고장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감지하고 다른 가용 영역 서버로 트래픽을 전환하여 서비스를 제공

 

고확장성: 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이 적응을 통해 큰 부하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예시: 사용자가 많아져 요청이 급증할 때 서버를 다른 가용 영역에서 자동으로 생성하여 부하를 분산시키는 것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

리전과는 다른 위치에 있는 데이터 센터로, 엣지 로케이션은 사용자의 물리적 위치와 가까운 곳에 있어 웹이나 동영상 같은 콘텐츠를 빠르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여러 개의 엣지 로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를 캐싱하고 전송한다.

캐싱: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 가능,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소에 복사해두고 필요할 때 마다 사용

 

CloudFront: 전 세계 엣지 로케이션을 통해 데이터,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API를 짧은 시간에 전달하는 서비스

예시: 사용자가 웹에서 동영상을 클릭하면, CloudFront가 가장 가까운 서버에서 클릭한 동영상을 즉시 받아볼 수 있게 해준다.

Route53: 웹사이트의 주소(도메인)를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역할

예시: 짧은 지연 시간으로 처리,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요청할 때 사용자가 입력한 웹 주소를 가장 빠르게 찾아주는 서비스

요약

  • CDN은 콘텐츠를 빠르게 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전체 구조
  • 엣지 로케이션은 CDN의 한 부분으로, 실제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CloudWatch  (0) 2024.12.15
AWS-보안  (3) 2024.12.14
AWS-데이터베이스  (0) 2024.12.12
AWS S3  (0) 2024.10.29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1) 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