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C(Forward Error Correction), BEC(Backward Error Correction)
FEC와 BEC는 모두 통신 시스템에서 에러 제어 방식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FEC(Forward Error Correction)
FEC은 전송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수신 측에서 이를 감지하고 수정할 수 있다.
수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정보(오류 수정 코드)를 원래의 데이터에 붙여 전송한다.
만약 데이터가 손상되었다면, 이 추가 정보를 사용하여 오류를 수정한다.
FEC의 장점은 재전송이 필요 없다는 것이며, 따라서 실시간 서비스나 긴 지연 시간이 문제가 될 수 있는 상황에서 유용하다.
BEC(Backward Error Correction or Automatic Repeat reQuest - ARQ)
BEC 또는 ARQ 방식은 오류 검출 후 재전송을 요청하는 방법이다.
데이터가 손상된 경우, 수신 측은 전송 측에게 해당 부분을 다시 보내달라고 요청한다.
이 방법의 단점은 재전송으로 인한 지연 시간이 추가되지만, 그만큼 효율적인 대역폭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FEC, BEC 동시에 사용
이 두 기술을 결합하면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고 전송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EC를 주로 사용하되, FEC가 처리할 수 없는 큰 오류가 발생했을 때만 BEC를 활용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이렇게 하면 데이터의 재전송이 필요한 경우를 최소화하면서도 큰 오류에 대처할 수 있다.
이런 결합 방식은 구현 복잡성과 추가적인 리소스 요구 등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으므로, 실제 활용 시에는 네트워크 환경과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 등 여러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네크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Internet Protocol) (0) | 2023.09.26 |
---|---|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0) | 2023.09.23 |
ARQ(Automatic Repeat reQuest) (0) | 2023.09.21 |
오류 검출 및 정정(FEC: Forward Error Control) (0) | 2023.09.20 |
통신 프로토콜의 구조 (0) | 202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