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

프로세스 라이프 사이클

by asd135 2024. 4. 4.
728x90

프로세스

저장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드되어 PCB를 얻고 실행되고 있는 순간부터 프로세스라고 한다.

PCB

운영체제가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료 구조이다. 각 프로세스마다 고유한 PCB를 가지며 프로세스 종료 시 폐기된다. PCB의 구성 요소로 프로세스의 식별 ID, ID,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프로세스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 레지스터 정보, 프로세스의 메모리 위치 정보, 입출력 상태 정보, CPU 할당 시간, CPU 사용 시간 등을 나타내는 계정 정보, 부모 프로세스 식별자(PPID), 자식 프로세스 식별자(CPID)가 있다.

 

프로세스 생명 주기

생성

프로세스가 생성될 때 운영체제로부터 PCB를 얻는다.

 

준비

CPU는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생성된 프로세스는 CPU를 점유하기 위해 준비 상태에 머물러 있으며 스케줄러에 의해 큐(queue)에 있는 프로세스의 PCB를 실행 상태로 보낼지 결정한다.

 

실행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하고 있는 상태를 실행 상태라고 하며 해당 프로세스는 주어진 시간 동안만 CPU를 점유할 수 있으며 타임아웃이 되면 다시 준비 상태로 전환된다. 실행 상태에서 프로세스가 작업을 완료하면 프로세스를 소멸시키고 입출력 요청이 있으면 프로세스는 대기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대기

대기 상태의 프로세스는 특정 이벤트나 조건의 충족을 기다리는 상태이다. CPU를 할당받아 실행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므로 대기 상태의 프로세스는 이벤트나 조건이 충족되면 준비 상태로 전환된다.

 

보류

프로세스가 준비 또는 대기 상태에서 한동안 변화가 없을 때 보류 상태로 전환되며 보류 상태의 유형으로는 사용자가 시스템 자원을 임시로 절약하기 위한 사용자에 의한 중단과 실행 메모리 공간이 부족하거나 우선순위가 낮은 프로세스를 일시적으로 중단시켜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에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시스템이 자동으로 프로그램을 중단시키는 시스템에 의한 중단 2가지 유형이 있다.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세스 스케줄링 방식  (0) 2024.04.11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메모리 보호 방식  (0) 2024.04.08
운영 체제, 부팅  (0) 2024.03.27
커널  (0) 2024.03.20
컴퓨터 버스 구성  (0) 2024.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