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휘발성 메모리
DRAM(Dynamic RAM)
- 메모리 작업이 시스템의 클럭 신호와 독립적임(비동기 방식)
- 저장된 0과 1의 데이터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므로
일정 시간마다 다시 재생시켜야 함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 DRAM과 달리 클럭 신호가 동기화되어 작동함 데이터 처리 속도 증가
SRAM(Static RAM)
-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어 재생할 필요가 없음
- DRAM에 비해 빠르지만 비용이 높음
- 특정 용도에 사용됨(CPU 캐시메모리, 임베디드 시스템 등)
비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 SD카드, SSD, USB 등 전력이 없어도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저장장치
롬(ROM)
읽기 전용 메모리
마스크 롬(Mask ROM)
- 제조사에서 데이터를 한 번만 기록할 수 있고 수정이 불가능함
PROM(Programmable ROM)
- 사용자가 한 번 프로그래밍할 수 있고 수정이 불가능함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 PROM을 개선한 롬으로 자외선을 이용해 데이터를 지울 수 있음
메모리 보호의 필요성
- 컴퓨터는 시분할 기법을 통해 여러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되는 멀티태스킹을 지원한다.
- 서로의 작업 공간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여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한다.
경계 레지스터와 한계 레지스터를 사용한 메모리 보호 방식
-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그램의 메모리 시작 주소를 경계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 프로그램이 차지하는 메모리의 끝까지의 범위를 한계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하드웨어는 프로그램이 주소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한다.
- 두 레지스터 범위를 벗어나면 메모리 오류와 관련된 인터럽트가 발생한다.
- 운영체제가 해당프로그램을 강제 종료한다.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기화가 필요한 이유(뮤텍스 락, 세마포어, 모니터) (1) | 2024.04.15 |
---|---|
프로세스 스케줄링 방식 (0) | 2024.04.11 |
프로세스 라이프 사이클 (0) | 2024.04.04 |
운영 체제, 부팅 (0) | 2024.03.27 |
커널 (0) | 2024.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