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넷 마스크란?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예시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서브넷 마스크인 255.255.255.0은 2진수로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을 의미한다.
1인 부분은 네트워크 주소
0인 부분은 호스트 주소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는 이유
1. 각각의 서브넷에는 다양한 크기의 호스트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서브넷에는 여러 명의 사용자를 위해 많은 호스트 주소를 할당하고 다른 서브넷에는 소수의 사용자를 위해 적은 호스트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즉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서브넷으로 나누면 각 서브넷은 독립적인 네트워크로 동작한다. 한 서브넷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은 해당 서브넷 안에서만 유지되므로 다른 서브넷에 영향을 주지 않아서 전체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부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서브넷 마스크 계산 법
서브넷 계산: 0의 개수는 해당 네트워크에서 서브넷 수를 결정한다. 255.255.255.0. 서브넷 마스크에서는 0이 8개 있으므로 2의 8 제곱인 256개의 호스트 주소를 제공한다.
각 서브넷에서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실제 사용가능한 개수를 구할려면 2를 빼줘야 한다.
C클래스
예를 들어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252 이진수로 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00인 경우 0의 개수가 2개이므로 4개의 IP주소를 가지는 서브넷이 생성된다.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실제 사용할 수 있는 IP는 2개이다.
서브넷 그룹의 개수는 2의 6제곱인 64개이다.
'네크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0) | 2023.10.30 |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0) | 2023.10.23 |
TCP/IP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0) | 2023.10.22 |
멀티플렉서(Multiplexer), 다중화 (1) | 2023.10.17 |
대역폭, 광대역, 협대역 (0)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