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 모델의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데이터의 전송: 전송 계층은 데이터를 송신자에서 수신자까지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는 세그먼트(Segment)라는 단위로 분할되어 전송된다.
오류 제어: 전송된 세그먼트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하고 오류가 발견되면 수정하거나 재전송 요청을 하는 역할을 한다.
흐름 제어: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한다.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이고 데이터 손실을 방지한다.
연결 설정: 데이터가 전송되기 전에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연결을 설정하며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연결을 해제한다.
순서 제어: 데이터가 올바른 순서로 도착했는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순서를 재조정한다.
전송 계층은 데이터의 안전한 전송을 보장하고 네트워크 통신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주요 프로토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TCP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 데이터를 전송하기전에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통신 경로를 설정한다.
데이터의 순서제어, 오류 검출 등을 통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웹 브라우징, 이메일 전송 등 정확하고 완전한 데이터 전달이 필요한 경우 사용된다.
UDP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보내기전에 연결을 설정하지 않는다.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지 않는다.
오류 검출, 재전송 요청 등 과정 없이 데이터 패킷을 보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UDP가 더 빠르다.
스트리밍, 게임 등 실시간성과 속도가 중요하며 일부 패킷 손실이 허용되는 경우 사용된다.
출처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https://en.wikipedia.org/wiki/Internet_protocol_suite
'네크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0) | 2023.10.30 |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0) | 2023.10.23 |
멀티플렉서(Multiplexer), 다중화 (1) | 2023.10.17 |
대역폭, 광대역, 협대역 (0) | 2023.10.16 |
LAN(Local Area Network) (0) | 2023.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