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크워크 기초

대역폭, 광대역, 협대역

by asd135 2023. 10. 16.
728x90

대역폭(bandwidth)

 

네트워크가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낸다. 즉 대역폭이 클수록 더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대역폭은 비트 단위 단위로 측정되며 초당 전송 가능한 비트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500 Mbps의 대역폭을 가진 네트워크는 1초에 500메가비트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광대역

 

대역폭이 넓은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장점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 동시에 여러 개의 신호 처리가 가능하다.

효율적: 한 채널에서 동시에 여러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단점

범위: 광대역 신호는 협대역 신호에 비해 짧다.

간섭 문제: 주파수 대역이 넓어 간섭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협대역

 

대역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장점

간섭 최소화: 좁은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신호와의 간섭이 줄어든다.

장거리 전송: 협대역 신호는 광대역 신호보다 멀리 전송가능하다.

 

단점

전송 속도: 대역폭이 좁기 때문에 광대역에 비해 느리다.

동시 연결 제한: 한 번에 하나의 신호만 처리할 수 있다.

 


정리

 

대역폭은 한 번에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 크기를 나타낸다.

광대역은 대역폭이 넓지만 협대역에 비해 짧고 간섭영향을 많이 받는다.

협대역은 멀리 전송가능하지만 속도가 느리고 간섭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다.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Bandwidth

https://en.wikipedia.org/wiki/Broadband

https://en.wikipedia.org/wiki/Narrowband

'네크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IP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0) 2023.10.22
멀티플렉서(Multiplexer), 다중화  (1) 2023.10.17
LAN(Local Area Network)  (0) 2023.10.15
교환망(Switching network)  (0) 2023.10.12
정보전송 방식  (0) 2023.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