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환망 방식
1.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2.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3.메시지 교환(Message Switching)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물리적인 경로를 설정하고 통신이 끝날 때까지 경로를 유지하는 방식이다.
전화에서 주로 사용되며, 한 번에 하나의 메시지만 전송할 수 있다.
장점
일관된 성능: 회선이 한번 설정되면 대역폭이 고정되므로 데이터 전송이 일관적이다.
순서 보장: 데이터는 항상 동일한 순서로 도착한다. 따라서 순서 재조정이 필요하지 않다.
단점
비효율성: 통신을 하는 동안 어떤 데이터도 그 경로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도 있다.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작은 단위,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이다. 패킷은 독립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며, 패킷은 다른 경로를 통해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다.
장점
효율성: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동적인 데이터 라우팅: 패킷마다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고 전송한다.
단점
지연 시간: 패킷이 독립적으로 처리되므로, 버퍼링, 큐잉, 라우팅 등에 따른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순서 문제: 모든 패킷이 같은 경로 가지 않고 동일한 순서로 도착하지 않을 수 있다.
오버헤드: 패킷마다 헤더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메시지 교환(Message Switching)
메시지를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사이의 중간이라고 볼 수 도 있다.
각 중간 노드에서는 메시지가 임시로 저장되고 적절한 경로가 사용 가능할 때 전달된다
장점
오류 검출 및 제어: 각 단계에서 오류 검사와 제어가 가능하여 데이터 송수신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단점
대기 시간: 각 중간 노드에서 메시지를 저장하고 다음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 때문에 지연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네크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역폭, 광대역, 협대역 (0) | 2023.10.16 |
---|---|
LAN(Local Area Network) (0) | 2023.10.15 |
정보전송 방식 (0) | 2023.10.10 |
IEEE 802 (0) | 2023.10.09 |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0) | 2023.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