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크워크 기초

LAN(Local Area Network)

by asd135 2023. 10. 15.
728x90

LAN(Local Area Network)

 

일반적으로 한정된 공간 예를 들어 사무실, 학교, 집 등에서 여러 컴퓨터나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의미한다. LAN은 데이터와 리소스를 공유하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LAN의 주요 특징


제한된 범위: LAN은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캠퍼스 같이 제한된 지역 내에서 구축된다. 그 크기는 작은 사무실부터 대형 건물까지 다양하다.


고속 데이터 전송: LAN 내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보통 매우 빠르다. 이더넷(Ethernet) 기반의 LAN에서는 100Mbps, 1Gbps, 그 이상의 속도도 가능하다.


리소스 공유: LAN을 통해 파일, 프린터, 게임 등 다양한 리소스와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다.


보안: LAN 내부의 트래픽은 외부 네트워크와 분리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네트워크 관리: 관리자는 사용자 계정 및 액세스 권한 설정과 같은 네트워크 관리를 할 수 있다.
LAN 구축에 사용되는 기술들 중 하나는 이더넷(Ethernet)이 있다. 무선 연결에 대해서는 Wi-Fi(IEEE 802.11 표준)가 주로 사용된다.

 

 


관련 프로토콜

 

ALOHA(Additive Link Online Hawaii Area)

 

ALOHA 프로토콜은 1970년대에 하와이 대학에서 개발된 무선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이다. ALOHA 프로토콜은 단순한 편이다.

 

각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할 준비가 되면 데이터를 보내고 만약 두 개 이상의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서 충돌이 발생하면 각 장치는 일정 시간을 기다렸다 다시 전송을 한다.

 

수신측은 동일한 송신데이터를 송신측에 회신하고, 송신측은 회신데이터와 송신데이터의 동일 성을 확인하여 전송 성공여부를 판단한다.

 

Slotted ALOHA

 

Slotted ALOHA는 ALOHA 프로토콜을 개선한 버전이다.

Slotted ALOHA는 시간을 동일한 크기의 슬롯으로 나누고 슬롯은 모든 장치가 동일한 슬롯을 공유한다 즉 각 슬롯에 하나만의 패킷이 전달될 수 있다.

 

각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슬롯 시작 시점에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한 슬롯 내에서 두 패킷이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만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이 방식은 ALOHA에 비해 효율성을 크게 향상했다. Slotted ALOHA의 패킷 전송 성공률은 ALOHA의 약 두 배이다.

Slotted ALOHA도 여전히 충돌 가능성이 존재한다.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여러 장치가 하나의 통신 채널을 공유할 때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각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채널이 사용 중인지 아닌지를 감지하도록 설계돼 있다 만약 채널이 사용 중이라면 대기하고 신호가 없으면 데이터를 송신한다.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면 데이터 충돌이 발생한다.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기존 CSMA에서 시간 개념이 추가되었다.

 

각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고 그 과정에서 전송 또는 충돌을 감지하면 임의 시간 동안 대기한 후 데이터를 전송한다

 

시간이 겹치면 데이터 충돌이 발생한다.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Local_area_network

https://en.wikipedia.org/wiki/ALOHAnet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네크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플렉서(Multiplexer), 다중화  (1) 2023.10.17
대역폭, 광대역, 협대역  (0) 2023.10.16
교환망(Switching network)  (0) 2023.10.12
정보전송 방식  (0) 2023.10.10
IEEE 802  (0) 2023.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