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크워크 기초

OSI 7 계층 모델

by asd135 2023. 9. 18.
728x90

OSI 7 계층 모델

 

7.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6.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5.세션 계층(Session Layer)

4.전송 계층(Transport Layer)

3.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2.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1.물리 계층(Physical Layer)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 이메일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 등의 애플리케이션이 이 계층에서 작동.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데이터 형식과 암호화를 담당. 즉,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거나(예: ASCII나 Unicode), 필요한 경우 암호화 및 복호화 작업을 수행

 

세션 계층(Session Layer): 통신 섹션을 설정하고 관리하며 종료하는 역할.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송신 쪽에서는 상위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패킷으로 분할하여 네트워크 계충에 전달하고, 수신 쪽에서는 받은 패킷들을 재조립하여 상위계층에 전달하는 역할.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IP 주소를 기반으로 한 라우팅(데이터 패킷의 최적 경로 선택) 및 패킷 전송 등을 담당.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오류 없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프레임(Frame)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MAC 주소(Machine Address) 기반의 주소 지정과 오류 검출 등의 기능을 담당.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디지털 데이터를 전기적, 광학적, 무선 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네트워크 매체(케이블, 광섬유 등)를 통해 전송.

 


데이터는 송신자 측에서 응용 계층에서 시작해서 물리 계층까지 내려가며 각 계층의 헤더 정보가 추가되는 과정을 거침.

이후 수신자 측에서 물리 계층부터 다시 응용 계층까지 올라가면서 각 계충의 헤더 정보가 제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