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8

운영 체제, 부팅 운영 체제 (OperatingSystem) 컴퓨터와 사용자를 이어 주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으로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소프트웨어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원을 제공, 관리해 준다.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생성, 스케줄링, 종료 등 프로세스의 주기를 관리한다.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로 시스템 자원을 받아 작업을 수행한다. 메모리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메모리에 로드되어야 하며 운영 체제는 메모리 할당, 해제를 담당한다. 파일 관리: 파일 생성, 삭제, 읽기, 쓰기 등 파일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한다. 입출력 관리: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등 다양한 입출력 장치를 관리한다. 사용자로 부터 입력을 받고 출.. 2024. 3. 27.
커널 시스템 콜 컴퓨터의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응용프로그램이 커널에 접근하기 위한 유일한 수단 네트워크 통신, 프로세스 관리, 파일 읽기 쓰기 열기 등 시스템에 접근하거나 조작할 필요가 있을 때 응용 프로그램은 운영 체제가 제공하는 시스템 콜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요청한다. 커널 운영체제의 구성요소이며 시스템의 모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리소스를 관리한다. 커널은 시스템 콜을 통해 요청된 서비스를 수행하며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을 유지하면서 운영체제가 효율적으로 하드웨어를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인터럽트 프로그램의 실행을 잠시 중단시키고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모드에서 커널 모드로 전환한다. 사용자 모드(user mode): 시스템 안정성과 보안을 위해, 하드웨어 접근불가 커널 모드(kernel .. 2024. 3. 20.
컴퓨터 버스 구성 컴퓨터 버스 CPU, 메모리, 입출력 장치들 사이에서 데이터, 주소, 제어 신호 등을 전송하는 물리적 연결 통로이다. 버스 종류 BSB(Back-Side Bus, 후면 버스) CPU 내부에 있는 버스이며 주로 CPU와 캐시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을 담당하는 버스 FSB(Front-Side Bus, 전면 버스) 메모리, CPU, 주변장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경로이다. 제어버스(Control Bus) 데이터, 주소 버스를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달한다. 메모리 읽기/쓰기, 인터럽트 요청, 버스 요청 등의 신호가 있다. 양방향 통신 주소버스(Address Bus) CPU가 접근할 메모리의 주소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된다. CPU의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와 연결된 버스 단방향 통신 데이터버.. 2024. 3. 19.
폰 노이만 아키텍처, 하버드 아키텍처 폰 노이만 아키텍처 1949년 EDSAC(1949) 컴퓨터 개발 때 폰 노이만이 설계한 컴퓨터 아키텍처이며 프로그램 내장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해서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데이터를 주 메모리(RAM)로 읽어와야 한다. 폰 노이만 구조 구성요소 CPU, 메모리, 입출력 장치, 저장장치가 하나의 Bus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 명령어와 데이터를 하나의 메모리에서 처리한다. (병목 현상 발생 원인) 병목 현상 발생 이유 명령어와 데이터가 같은 메모리를 공유하기 때문에 CPU가 명령어를 처리하는 동안에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없다. CPU의 처리 속도가 메모리 접근 속도보다 훨씬 빠르다. CPU는 필요한 데이터나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가져오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발생한다. 장점 .. 2024.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