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크워크 기초22

멀티플렉서(Multiplexer), 다중화 MUX(다중화) 여러 입력 신호를 하나의 출력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즉 하나의 전송로를 통해 여러 개의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DMUX(역다중화) 하나의 신호를 여러 개로 나눠서 다수의 전송로로 전송한다. FDM(주파수 분할 다중화) 하나의 전송로를 여러 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각각 할당한다(브로드밴드). 고유한 주파수 범위를 가지므로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채널 간 상호 간섭을 막으려면 보호 대역이 필요하다. TDM(시간 분할 다중화) TDM에서는 각 데이터 스트림이 고유한 시간 슬롯(time slot)을 할당받아 사용한다. 예를 들어 3개의 채널이 있다면 첫 번째 채널에 시간 슬롯 A를 두 번째 채널에 시간 슬롯 B를 세 번째 채널에 시간 슬롯 C를 할당한다. 그다음 순차적으로 하나의 전송 매체를 .. 2023. 10. 17.
대역폭, 광대역, 협대역 대역폭(bandwidth) 네트워크가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낸다. 즉 대역폭이 클수록 더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대역폭은 비트 단위 단위로 측정되며 초당 전송 가능한 비트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500 Mbps의 대역폭을 가진 네트워크는 1초에 500메가비트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광대역 대역폭이 넓은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장점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 동시에 여러 개의 신호 처리가 가능하다. 효율적: 한 채널에서 동시에 여러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단점 범위: 광대역 신호는 협대역 신호에 비해 짧다. 간섭 문제: 주파수 대역이 넓어 간섭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협대역 대역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장점 간섭.. 2023. 10. 16.
LAN(Loc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일반적으로 한정된 공간 예를 들어 사무실, 학교, 집 등에서 여러 컴퓨터나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의미한다. LAN은 데이터와 리소스를 공유하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LAN의 주요 특징 제한된 범위: LAN은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캠퍼스 같이 제한된 지역 내에서 구축된다. 그 크기는 작은 사무실부터 대형 건물까지 다양하다. 고속 데이터 전송: LAN 내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보통 매우 빠르다. 이더넷(Ethernet) 기반의 LAN에서는 100Mbps, 1Gbps, 그 이상의 속도도 가능하다. 리소스 공유: LAN을 통해 파일, 프린터, 게임 등 다양한 리소스와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다. 보안: LAN 내부의 트래픽은 외부 네트워크와 .. 2023. 10. 15.
교환망(Switching network) 교환망 방식 1.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2.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3.메시지 교환(Message Switching)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물리적인 경로를 설정하고 통신이 끝날 때까지 경로를 유지하는 방식이다. 전화에서 주로 사용되며, 한 번에 하나의 메시지만 전송할 수 있다. 장점 일관된 성능: 회선이 한번 설정되면 대역폭이 고정되므로 데이터 전송이 일관적이다. 순서 보장: 데이터는 항상 동일한 순서로 도착한다. 따라서 순서 재조정이 필요하지 않다. 단점 비효율성: 통신을 하는 동안 어떤 데이터도 그 경로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도 있다.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컴퓨터.. 2023. 10. 12.